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Strimzi
- Kubernetes
- 동등성
- docket
- 0 replica
- Kafka
- keda
- MSSQL
- blue-green
- Salting
- Software maestro
- Helm
- Grafana
- SW 마에스트로
- spring boot
- zset
- logback
- traceId
- Benchmarks
- Leaderboard
- propogation
- hammerDB
- SW Maestro
- slow query
- Database
- yml
- 스프링부트
- minreplica
- eks
- Debezium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Strimzi (1)
김태오
Strimzi를 사용하여 Kafka, Debezium을 쿠버네티스에 띄우기
Debezium은 대표적인 CDC(Change Data Capture) 툴이다. CDC를 쓰는 이유로는 데이터베이스의 변화를 빠르게 감지하여 이벤트를 발생시켜 작업을 함에 있다. 도입하게 된 유즈케이스를 간단히 설명하자면, 어플리케이션에서 POST api 인입 -> A 데이터베이스에 정보 저장 -> 외부 api 호출 -> 호출 성공시 B 데이터베이스에 정보 저장 -> 다른 service method들 실행의 과정에서, 외부 api 가 실패하더라도 A 데이터베이스가 업데이트되어 한 트랜잭션에 묶이지 않았기 때문이다. @Transcational 을 걸고 실패시 롤백 핸들링을 하면 되지 않나 싶겠지만, 외부 api 호출을 async로 던지고 있었기에 불가능했다.아무튼 외부 api 호출을 먼저하고, 호출이 성공..
kafka
2024. 7. 24. 18:57